* (과거) 부모님 -> 저: 최근 10년간 주신 것 없음* (과거) 부모님 -> 손녀2명: 매달 각각 10만원씩 손녀들 각각의 명의로 용돈을 넣어주심(650만원씩 총 1300만원이 됨) -> 3-4달에 한번씩 손녀들 각각의 명의 주식계좌에 넣어 주식 매입 -> 2025년에 비트코인으로 갈아타기 위해 (손녀들 각각의 비트코인 계좌가 없어서) 현금화 해서 제 통장으로 인출 -> 제 비트코인 계좌에 넣고 비트코인 매입 + 구글 클라우드 스프레드시트에 각 손녀들 돈으로 비트코입 매입한 상황을 제가 기록해서 클라우드에 스프레드시트 문서로 보관/업데이트 중(날짜, 금액 존재)* (계획) 제가 주택 매입 계획이 있어 1억원을 융통하고자 하여, 일부는 계좌이체로 그냥 받고 나머지는 법원 공증 후 계좌이체로 대출 받아서 대출 부분은 향후 10년간 월리금 균등상환 방식으로 갚고자 함. 대출이 아닌 그냥 받은 만큼은 여유가 생기면 갚을 생각이라 일단 계획이 없음.* (질문) 증여세 관련 지출이 생길까봐 걱정인데, 대출 부분 액수를 얼마로 정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대출 시점에 법원 공증 외에 따로 뭔가를 신고해야 하는지요?
할아버지·할머니께서 손녀분에게 드린 1,300만원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직계존비속 간 10년간 합산 5,000만원 한도 내에 드는 금액이므로 증여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미 이루어진 금액에 관해 별도로 증여세를 신고하거나 납부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주택 매입 자금으로 1억원을 조달하면서 그중 일부를 ‘대출’로 처리하실 계획이라면, 대출 부분 전액에 대해서는 증여세 문제가 아예 발생하지 않고(→ 대출은 채무이므로 증여가 아닙니다), 나머지를 ‘증여’로 보실 때도 그 금액이 5,000만원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예컨대 1억원 중 5,000만원까지만 증여(무이자·무상증여)로 처리하고, 나머지 5,000만원을 법원 공증을 거친 대출계약으로 받으시면 증여세 부담 없이 자금 조달이 가능합니다.
법원공증을 통해 채무증서를 작성하셨다면 추가로 세무서에 별도 신고하실 필요는 없고, 다만 대출계약서를 잘 보관하셔서 향후 금융기관 대출 심사나 증여세 조사 시 ‘그 돈은 증여가 아니라 대출이다’라는 점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시면 됩니다.
요약하자면
이미 손녀분에게 드린 총 1,300만원은 직계존속→직계비속 간 10년 합산 증여한도 5,000만원 이내이므로 증여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1억원 중 증여로 보실 부분이 5,000만원을 넘기지 않게만 분리(나머지를 대출 처리)하시면 추가 증여세는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법원공증 채무증서는 보관만 잘 하시면 되고, 별도의 세무 신고는 필요 없습니다.
이렇게 기획하시면 증여세 없이 계획하신 자금 조달이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해주세요!
채택시 받는 해피빈 모두가 어려운 이웃들에게 소중히 전달되어 따뜻한 도움의 손길이 됩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